[STM32F4] C++ 프로젝트 튜토리얼 – Step 5

C++에서 SPI Peripheral 사용하기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센서, 외부 메모리,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장치와 고속 통신을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UART와 달리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가지고, 클럭 신호를 포함한 4선(SCLK, MOSI, MISO, CS)을 통해 동작합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SPI를 클래스 기반 구조로 설계하는 방법을 다룹니다.UART와 달리 SPI는 장치마다 프로토콜이 달라 더보기…

[STM32F4]C++ 프로젝트 튜토리얼 – Step 4

C++에서 UART Peripheral 사용하기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신 장치 중 하나입니다. 디버깅, 로그 출력,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단순하면서도 신뢰성 높은 통신 수단을 제공합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UART를 클래스 기반 구조로 구현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기본 클래스인 BaseUART를 시작으로, 성능 요구에 따라 IntrUART(인터럽트 더보기…

[STM32F4] C++ 프로젝트 튜토리얼 – Step 3

EEPROM 제어 및 시스템 정보 저장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EEPROM을 이용해 특정 정보를 읽고 쓰는 방법을 다룹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서 EEPROM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전원이 꺼져도 유지되어야 하는 설정 값이나, 부팅 시 불러와야 하는 시스템 초기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핵심 메모리로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왜 EEPROM이 필요한가? EEPROM은 비휘발성 더보기…

[STM32F4]C++ 프로젝트 튜토리얼 – Step 2

이번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전체에서 동작하는 Task와 Timer를 관리하는 구조를 설계합니다. 이를 위해 BasicFunctions라는 관리 객체를 만들고, 이 객체 안에서 Task와 Timer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또한 예제로 RUNLEDTask를 추가하여 LED가 1초 간격으로 점멸(blinking)되는 동작을 확인해보겠습니다. 1. Task와 Timer 개념 Task 객체 Task는 시스템에서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단위 동작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더보기…

[STM32F4]C++ 프로젝트 튜토리얼 – Step 1

STM32F4 보드에서 C++ 기반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필요한 초기 세팅 과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생성 → 기본 환경 설정 → ConsoleTask 구성 → 빌드 및 디버깅까지의 흐름을 설명합니다. 작업 범위 1. Project 생성(자동 Pin 할당) STM32CubeMX로 미리 작성해 둔 .ioc 파일을 이용하면 핀과 기본 설정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예제 더보기…

[STM32F4]기반 하드웨어인 TW100PC Pin Map

MCU Pin Map 아래 그림은 TW100PC 보드의 MCU Pin Map을 보여줍니다. 즉, 기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내부 할당된 핀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추가적인 기능을 구현할 때는 MiniPCI 영역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내부 핀 설정 다음 그림은 내부적으로 할당된 핀들의 세부 구성을 보여줍니다. 이 핀들은 모듈 필수 기능에 영향을 주므로 변경 더보기…

[TW101DB] 리셋 및 초기화 가이드

임베디드 장치를 사용하다 보면 가끔은 재부팅(Reset) 이나 공장 초기화(Factory Reset) 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TW101DB는 이 두 가지 기능을 지원하며,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하드웨어 핀을 이용한 방법 TW101DB 보드 하단에는 SW Input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이용해 하드웨어 방식으로 Reset 또는 Factory 더보기…

ko_KRKorean